[2022 서울특별시 디저털 활용 공모전 대상작] 관악구 내 반지하 주택 침수 위험도 분석지도

웹지도 보기 2022 공간정보 활용 공모전 대상작품입니다. 고해상도 DEM의 상대적 활용을 통해 관악구 반지하 주택의 침수위험도를 분석한 지도입니다.   ▶ 필요성 및 목적  ■ 기존 연구의 한계점         DEM의 절대값을 변수로 사용 → DEM 자체 보다는 주변 지역보다 얼마나 낮은지가 더 중요         낮은 DEM 공간해상도 → 낮은 DEM 공간해상도         침수 […]

Continue Reading

코로나 19 전후 주요 상권의 교통량 비교를 통한 경기침체정도 분석

18 박진영 21 서규민 22김건형 22이민재 초록 코로나 19가 전세계를 강타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었는데, 수도인 서울의 경제적 피해가 막심하다. 서울 주요 상권들에 나가봐도 많은 매장들이 사라지거나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서울 기준 코로나의 규제가 강해지기 시작했던 2020년 2분기 점포 수는 2만 여개가 폐업을 하였다(김재호 외, 2021). 이처럼 코로나로 인해 유동인구가 줄어듦으로써 많은 자영업자들과 많은 […]

Continue Reading

2006년 이후 서울시 공시지가 현실화율 변화과정 (GIF)

데이터 출처 : 2016년 이전 개별공시지가 공간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2016년 공시지가 shp의 폴리곤에 이전 개별공시지가 CSV파일을 JOIN하여 제작함 (Arc GIS Pro 사용) 개별공시지가 CSV: https://data.seoul.go.kr/dataList/OA-1180/F/1/datasetView.do 2016 개별공시지가공간정보: http://openapi.nsdi.go.kr/nsdi/eios/ServiceDetail.do;jsessionid=0D764B1DBEF83C3135EF61B9E689E320 제작자: 한민규, 정윤철, 박병환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김건형 자료출처: 개별공시지가 CSV: https://data.seoul.go.kr/dataList/OA-1180/F/1/datasetView.do 2016 개별공시지가공간정보: http://openapi.nsdi.go.kr/nsdi/eios/ServiceDetail.do;jsessionid=0D764B1DBEF83C3135EF61B9E689E320

Continue Reading

서울시 개별공시지가공간정보 SHP (2006~2015)

2006년 ~2015년 서울시 개별공시지가공간정보 현재 서울시 개별공시지가공간정보는 2016년 이후로만 제작되어있고, 2016년 이후로는 CSV파일로만 제공되고 있음. 2016년 이전 개별공시지가 공간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2016년 공시지가 shp의 폴리곤에 이전 개별공시지가 CSV파일을 JOIN하여 제작함 (Arc GIS Pro 사용) 따라서 토지코드가 변경되는 등의 이유로 일부 정보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 제작자: 한민규, 정윤철, 박병환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자료출처: 개별공시지가 […]

Continue Reading